7월 21일(목) 20:00 ~ 20:30 @은수 @조동진
안드로이드에 맞춰진 디자인도 리젝 사유에 들어갈 수 있겠죠,,,? (ex. 구글에서 제안하는 탭바 플로팅 효과, 오른쪽 상단에 수정,삭제,신고하기 탭 디자인) iOS는 HIG에 맞춰서 따로 디자인 해야 될까요?
→ 같은 맥락으로 디자인과 유사한 SFsymbol이 있다면 해당 사진을 쓰는 것보다 symbol로(systemName 으로 불러와서) 쓰는 게 아무래도 더 좋은가요?
저희가 현재 화면 전환과 동시에 데이터를 전달해야 할 때, 전환될 VC의 프로퍼티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주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VC에서 다른 VC 안의 데이터를 직접 변경하는 게 안 좋다고 들었는데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데이터 바인딩 (MVP)
viewdidload에서 아웃풋에 따른 처리 함수 등록
컴포넌트를 생성할 때, 아래 사진과 같이 클로저 안에 서브뷰로 들어갈 컴포넌트를 동시에 생성하는 방식이 좋은 건지 궁금합니다. (또는 따로 꺼내어서 나중에 addSubviews로 넣는 게 차라리 나은지)
DeliveryVC.swift